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, 전통차례상 차리기 / 설 음식 보관하는 방법 / 차례상에 올리면 않되는 음식 /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/ 차례상 용어 / 제사음식 / 제사상 차리기
공유하고 싶은 좋은정보/기타 2013. 2. 6. 22:54
설날,, 이젠 정말 며칠 남지 않았네요^^
주부님들~ 힘내세요~~~~
저흰 제사를 지내지 않아서, 사실 차례상을 한번도 차려 본 적이 없지만
명절 음식만큼은 제사내는 집 못지 않게.. 아니 그보다도 더 많이 준비를 한답니다..ㅎㅎ
제사를 많이 지내보신 분들은 알아서 척척 차리시겠지만..
혹시라도 초보주부님들께 도움이 될까 하여 올려봅니다^^
전통 차례상 차리는 방법
★ 1열
시접, 잔반(술잔, 받침대)을 놓고 떡국을 올림
★ 2열
어동육서 : 생선은 동쪽, 고기는 서쪽
두동미서 : 생선의 머리는 동쪽, 꼬리는 서쪽
★ 3열
생선·두부·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
★ 4열
좌포우혜 : 좌측 끝에는 포, 우측 끝에는 식혜
★ 5열
조율이시 : 왼쪽부터 대추, 밤, 배, 곶감 순으로 놓음
홍동백서 :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
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/ 차례상에 올리면 않되는 음식
- 복숭아와 삼치, 갈치, 꽁치 등 끝에 '치'자가 든 생선은 쓰지 않는다.
-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는다.
-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.
차례 상차림 용어
- 고비합설(考妣合設) :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차린다.
- 시접거중(匙楪居中) :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.
- 반서갱동(飯西羹東) : 밥(메)는 서쪽이고 국(갱)은 동쪽이다(산 사람과 반대)
- 적접거중(炙楪居中) : 구이(적)는 중앙에 놓는다.
- 어동육서(魚東肉西) : 생선은 동쪽에,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.
- 동두서미(東頭西尾) : 머리를 동쪽에 향하고, 꼬리는 서쪽을 향한다.
- 배복방향(背腹方向) :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.
- 면서병동(麵西餠東) : 국수는 서쪽에, 떡은 동쪽에 놓는다.
- 숙서생동(熟西生東) : 익힌 나물은 서쪽이고,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다.
- 서포동해·혜(西脯東醢·醯) : 포는 서쪽이고.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에 놓는다.
- 홍동백서(紅東白西) : 붉은 색의 과실은 동쪽에 놓고, 흰색의 과실은 서쪽에 놓는다.
- 동조서율(東棗西栗) :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.
출처 : 성균관 전례연구위원회 / 용인시 예절교육관(http://ye.yonginsi.net/)
설 음식 보관하는 방법
육류 - “식용류나 올리브 오일을 발라 냉동 보관하세요”
육류는 냉동실에 보관해도 시간이 지나면 변색되기 때문에 변색 없이 오래 보관하려면
식용류나 올리브오일을 살짝 발라 한 번 먹을 만큼 나누어 랩에 싸서 냉동 보관하는 것이
좋다. 기름 코팅이 보호막이 되어 세균 침투를 막아 주기 때문이다.
또한 육류를 만질 때 위생 장갑을 사용해 손에 의한 오염 확산을 막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생선 – “내장 제거 후 맛술 부어 2~3일 정도 냉장실에 두세요”
생선은 내장을 제거하고 소금을 뿌려 15분 정도 둔 후 맛술을 부어 2~3일 정도 냉장실에
두었다가 냉동보관을 하면 등 푸른 생선은 1개월, 흰 살 생선은 2개월 정도 보관이 가능하다.
전류 – “종이 호일로 싼 후 지퍼팩이나 밀폐용기에 보관하세요”
전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이 호일로 먹을 만큼 싸서 지퍼팩이나
밀폐용기에 보관한다.
밥 – “일인분식 나누어 납작하게 펴서 냉동 보관하세요”
남은 밥은 일인분식 나누어 랩이나 지퍼팩에 납작하게 펴서 냉동보관 후 먹기 직전에
전자레인지에 돌려 먹으면 새로 한 밥처럼 맛있게 먹을 수 있다.
나물류 – “고사리와 도라지는 프라이팬에 한 번 볶은 후 보관하세요”
나물류는 밀폐용기에 한 번 먹을 만큼 같은 종류끼리 담되 고사리와 도라지는 프라이팬에
한 번 볶은 후 밀폐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.
떡 – “따뜻한 상태에서 랩으로 싸 냉동 보관하세요”
떡은 한 번 먹을 만큼 나누어 따뜻한 상태에서 랩으로 싸서 냉동 보관한다. 해동할 때에는
냉장실에서 천천히 해야지 갑자기 뜨거운 물에 넣으면 갈라지기 쉽다.
식혜 및 수정과 – “먹을 만큼 나누어 보관하되 식혜는 밥과 물을 분리하세요”
큰 통에 한꺼번에 보관하지 말고 한 번 먹을 만큼 나누어 보관하되 식혜는 밥과 물을
분리하여 보관해야 오래 보관할 수 있다.
한과 – “먹을 만큼 나누어 진공 포장하세요”
한과는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거나 딱딱해지기 때문에 한 번 먹을 만큼 나누어
진공 포장한다.
북어포 – “녹차 잎을 함께 보관하세요”
북어는 습기에 매우 약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북어와 녹차 잎을 함께
보관하면 좋다.
대추와 밤 – “톱밥이나 모래를 넣거나 한지에 싸서 보관하세요”
습기가 없는 톱밥이나 모래를 넣어 시원한 곳에 보관하면 2~3개월 정도 보관이 가능하다.
만약 톱밥과 모래가 없다면 한지에 싸거나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하는
것도 좋다.
콩나물 – “차가운 물을 부어 보관하세요”
비닐 팩에 콩나물과 차가운 물을 부어 보관한다.
무 – “용도에 맞게 썰은 후 냉동 보관하세요”
조림용이나 국을 끓일 무는 용도에 맞게 썰어 냉동시킨 후 해동하지 않고 바로 조리한다.
배 – “신문지에 싸고 비닐에 하나씩 담아 보관하세요”
신문지에 싸고 비닐에 하나씩 담아 냉장 보관한다.
출처 : 임산부 닷컴(www.imsanboo.com)
'공유하고 싶은 좋은정보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구 아이들과 함께 가볼만 한 곳~ 대구 과학교육원 다녀왔어요^^ /현장학습으로 좋은 곳 / 체험학습장 (7) | 2013.03.28 |
---|---|
티스토리 초대장 드려요~(완료) (42) | 2013.03.04 |
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, 전통차례상 차리기 / 설 음식 보관하는 방법 / 차례상에 올리면 않되는 음식 /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/ 차례상 용어 / 제사음식 / 제사상 차리기 (0) | 2013.02.06 |
티스토리 초대장 드립니다~(완료) (32) | 2013.02.03 |
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~~^^ (4) | 2013.01.01 |
건조한 겨울, 자연가습으로 건강 지키세요~^^ 숯을 이용한 천연가습기 만들기~ (2) | 2012.12.28 |
댓글을 달아 주세요